본문 바로가기
문화

전세계 음악 시장 순위 TOP 10 - 우리나라 순위 변화

by 정보해커 2023. 4. 15.
반응형

국제음반산업협회(IFPI) 에서는 매년 작년 한해의 음반산업을 현황을 취합하여 보고서를 발표한다. 이 보고서에는 전세계 Top 10 음반 시장의 순위가 포함되어 있다. 음반 시장 음반이 소비되는 소비시장을 말한다. 최근 보고서에서 발표된 음반시장 순위를 한번 알아보자.

 

전세계 음악시장 규모

2022년 전세계 음악시장 규모는 미국 달러로 262억$ 규모이다. 한화로는 약 34조원 정도이다.

Top 10 음악시장

시장 규모가 큰 국가별 순위를 한번 보자. 우리나라는 2022년 7위에 해당한다. 

 

2022년

1위 미국
2위 일본
3위 영국
4위 독일
5위 중국
6위 프랑스
7위 한국
8위 캐나다
9위 브라질
10위 호주

 

2021년

1위 미국
2위 일본
3위 영국
4위 독일
5위 프랑스
6위 중국
7위 한국
8위 캐나다
9위 호주
10위 이탈리아

 

2020년

1위 미국
2위 일본
3위 영국
4위 독일
5위 프랑스
6위 한국
7위 중국
8위 캐나다
9위 호주
10위 네덜란드

 

2019년

1위 미국
2위 일본
3위 영국
4위 독일
5위 프랑스
6위 한국
7위 중국
8위 캐나다
9위 호주
10위 브라질

 

2018년

1위 미국
2위 일본
3위 영국
4위 독일
5위 프랑스
6위 한국
7위 중국
8위 호주
9위 캐나다
10위 브라질

 

2017년

1위 미국 5916.1 백만 $
2위 일본 2727.5 백만 $
3위 독일 1323.1 백만 $
4위 영국 1310.7 백만 $
5위 프랑스 925.1 백만 $
6위 한국 494.4 백만 $
7위 캐나다 437.2 백만 $
8위 호주 412.8 백만 $
9위 브라질 295.8 백만 $
10위 중국 292.3 백만 $

 

2016년

1위 미국 5318.2 백만 $
2위 일본 2745.9 백만 $
3위 영국 1251.1 백만 $
4위 독일 1212 백만 $
5위 프랑스 849.5 백만 $
6위 캐나다 367.9 백만 $
7위 호주 357.2 백만 $
8위 한국 330.1 백만 $
9위 이탈리아 263.7 백만 $
10위 네덜란드 243.3 백만 $

 

2015년

1위 미국 4997.3 백만 $
2위 일본 2446.7 백만 $
3위 영국 1354.0 백만 $
4위 독일 1309.9 백만 $
5위 프랑스 809.1 백만 $
6위 호주 342.8 백만 $
7위 캐나다 335.8 백만 $
8위 한국 281.3 백만 $
9위 이탈리아 265.5 백만 $
10위 브라질 247.0 백만 $

 

2014년

1위 미국 4898.3 백만 $
2위 일본 2627.9 백만 $
3위 독일 1404.8 백만 $
4위 영국 1334.6 백만 $
5위 프랑스 842.8 백만 $
6위 호주 376.1 백만 $
7위 캐나다 342.5 백만 $
8위 대한민국 265.8 백만 $
9위 브라질 246.5 백만 $
10위 이탈리아 235.2 백만 $

 

2013년

1위 미국 4473.5 백만 $
2위 일본 3012.0 백만 $
3위 독일 1365.1 백만 $
4위 영국 1303.5 백만 $
5위 프랑스 956.2 백만 $
6위 호주 430.8 백만 $
7위 캐나다 424.1 백만 $
8위 이탈리아 238.8 백만 $
9위 브라질 227.9 백만 $
10위 대한민국 211.3 백만 $

 

2012년

1위 미국 4487.7 백만 $
2위 일본 4422.0 백만 $
3위 영국 1325.8 백만 $
4위 독일 1297.9 백만 $
5위 프랑스 907.6 백만 $
6위 호주 507.4 백만 $
7위 캐나다 453.5 백만 $
8위 브라질 257.2 백만 $
9위 이탈리아 217.5 백만 $
10위 네덜란드 216.3 백만 $
11위 대한민국 187.5 백만 $

 

2011년

1위 미국 4372.9 백만 $
2위 일본 4087.7 백만 $
3위 독일 1473.7 백만 $
4위 영국 1433.7 백만 $
5위 프랑스 1002.2 백만 $
6위 호주 475.2 백만 $
7위 캐나다 434.0 백만 $
8위 브라질 262.6 백만 $
9위 네덜란드 240.2 백만 $
10위 이탈리아 239.9 백만 $
11위 대한민국 199.5 백만 $

 

2010년

1위 일본 4096.9 백만 $
2위 미국 3635.2 백만 $
3위 독일 1713.6 백만 $
4위 영국 1388.1 백만 $
5위 프랑스 999.6 백만 $
6위 호주 408 백만 $
7위 캐나다 343.2 백만 $
8위 이탈리아 275.4 백만 $
9위 네덜란드 270.2 백만 $
10위 브라질 258.7 백만 $
...
21위 대한민국 116.9 백만 $

 

2009년

1위 미국 4562.0 백만 $
2위 일본 4244.5 백만 $
3위 독일 1945.8 백만 $
4위 영국 1730.5 백만 $
5위 프랑스 1158.5 백만 $
6위 호주 456.2 백만 $
7위 캐나다 401.6 백만 $
8위 네덜란드 340.6 백만 $
9위 잍라리아 293.8 백만 $
10위 스페인 266.8 백만 $
...
24위 대한민국 93.3 백만 $

 

2008년

1위 미국 5977.4 백만 $
2위 일본 5171.1 백만 $
3위 독일 2370 백만 $
4위 영국 2274.9 백만 $
5위 프랑스 1342.5 백만 $
6위 호주 555.3 백만 $
7위 캐나다 530 백만 $
8위 이탈리아 427 백만 $
9위 러시아 395.2 백만 $
10위 스페인 374.3 백만 $
...
26위 대한민국 118.4 백만 $

 

2007년

1위 미국 7985.6 백만 $
2위 일본 4174.5 백만 $
3위 영국 2696.4 백만 $
4위 독일 2142.2 백만 $
5위 프랑스 1471 백만 $
6위 호주 564.8 백만 $
7위 캐나다 561.8 백만 $
8위 이탈리아 493.3 백만 $
9위 러시아 418.8 백만 $
10위 네덜란드 385 백만 $
...
30위 대한민국 80.7 백만 $

 

1위는 미국이 거의 항상 차지하고 있다. 전세계에서 가장 큰 음악시장은 당연하게도 바로 미국이다.

그리고 2위는 일본이다. 우리가 잘 모를 수도 있겠지만 일본시장은 시장규모가 아주 큰 시장이다. 일본은 인구수와 경제력이 뒷받침이 되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음악시장이 커질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예전부터 우리나라 가수들이 일본시장 진출을 계속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우리나라와는 지리적, 문화적으로도 가까운데다가가 전세계 2위 규모의 음악시장이기 때문이다.

 

3, 4위는 영국과 독일이 유지해오고 있다. 영국에서도 좋은 뮤지션이 많이 나오는 이유가 일단 시장 규모가 크고 같은 영미권 국가로서 미국시장으로의 진출이 용이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독일은 우리에게는 조금 낯설다. 독일 음악은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들어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독일은 클래식의 본고장이라고 불리우는 국가이다. 모두가 아는 베토벤을 포함해 수많은 음악의 위인들이 독일에서 나왔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독일은 음악 시장으로서도 규모를 유지하고 있는건 어찌보면 당연한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나라는 2020년까지 6위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2021년부터 중국에게 밀려 7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은 압도적인 인구 수와 최근 경제성장으로 인해 음악시장의 규모도 점점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7년까지는 전세계 30위정도의 시장규모였다. 다양한 아이돌 그룹의 등장과 팬덤 문화의 발달, 그리고 스트리밍 시장의 발달과 저작권 보호에 대한 개선으로 시장 규모가 점점 증가하기 시작한걸로 보인다. 

 

시장규모와 아티스트는 비례하는가?

음악은 창의성이 중요한 요소이다. 그래서 그 국가의 시장이 크다고 무조건 좋은 아티스트가 항상 나오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하지만 자국 시장이 크다는 것은 좋은 아티스트가 나오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라 생각한다.

시장규모가 크면 인재를 발굴해서 육성하고, 다양한 아티스트가 활동을 할 수 있는 자본이 뒷받침 된다는 얘기이다. 그래서 항상 글로벌하게 유명한 가수들과 음악은 거의 미국이나 영국시장에서 나왔다. 여러분들이 그동안 듣던 팝송들을 생각해보면 이해될 것이다.

일본은 시장은 크지만 보수적인 면이 강한 성격이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가수를 비롯해 서양권 가수들이 일본 시장을 놓치지 않으려고 노력하였다.

 

물론 시장이라는 것은 그 나라의 경제력과 인구수,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뒷받침되어야만 형성될 수가 있다. 우리나라도 경제 발전으로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음악시장이 계속 커질 수 있던 것이었다. 내가 좋아하는 가수나 노래에 돈을 지불할 능력이 되기 때문이다.

 

이제는 각종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시장의 경계를 넘어가기가 더 수월해졌다. 우리나라 가수들이 점점 더 큰 시장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도 결국 경제발전과 자국 음악시장의 발전 위에 창의력이 뒷받침된 결과라고 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