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년들의 중장기적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되는 청년도약계좌의 5년 만기시 받을 수 있는 금액을 미리 알아볼 수 있는 만기액 계산기입니다.
현재 은행 금리를 6%를 기본설정으로 하였고,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만기액 계산기
만원
만원
%
5년 만기금액
원
원
원
원
반응형
정부 기여금
| 개인소득 (총급여기준) | 기여금 지급한도(월) | 기여금 매칭비율 | 기여금 한도(월) |
| 2,400 만원 이하 | ~ 40 만원 | 6 % | 2.4 만원 |
| 3,600 만원 이하 | ~ 50 만원 | 4.6 % | 2.3 만원 |
| 4,800 만원 이하 | ~ 60 만원 | 3.7 % | 2.2 만원 |
| 6,000 만원 이하 | ~ 70 만원 | 3.0 % | 2.1 만원 |
| 7,500 만원 이하 | 기여금 지급없음 / 비과세 이자소득만 적용 | ||
계산 예시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입력 후에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면
| 연소득 | 2,400 만원 |
| 월 납입금 | 40만원 |
| 은행 금리 | 6% |
5년 만기금액은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온다.
| 원금 | 24,000,000 원 |
| 정부 기여금 | 1,440,000 원 |
| 은행 이자 (비과세) | 3,660,000 원 |
| 총수령액 | 29,100,000 원 |
원금은 5년동안 내가 납입한 원금의 총액이며, 정부 기여금은 월 납입금 40만원에 대해 정부에서 지원된 총 금액이다.
연소득 2,400만원이니까 최고 40만원까지 6%의 비율로 기여금 지급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매월 24,000원의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다.
은행이자는 비과세로 5년 적금 이율로 계산하였다. 은행 금리가 아직 확정 전이라 금리를 선택해서 계산할 수 있도로 하였다.
일단은 6%로 계산하면 매월 40만원 적금으로 5년을 납입하면 3,660,000원의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다.
그결과 5년 만기후에 정부 기여금 + 은행 이자 = 5,100,000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게 된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두산로보틱스 상장 / 사업분야 알아보기 (1) | 2023.10.10 |
|---|---|
| 국내 연구진 개발 초전도체 LK-99 관련주 (0) | 2023.08.02 |
| 청년도약계좌 일정 - 신청기간 놓치지 마세요! (0) | 2023.06.12 |
| 폴더블폰 관련 테마주 모음 (1) | 2023.05.30 |
| 2023년 안양시 재난지원금 (5월 31일까지 안양시민 모두 지급) (0) | 2023.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