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청년도약계좌 계산기

by 정보해커 2023. 6. 13.
반응형

청년들의 중장기적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되는 청년도약계좌의 5년 만기시 받을 수 있는 금액을 미리 알아볼 수 있는 만기액 계산기입니다.
 
현재 은행 금리를 6%를 기본설정으로 하였고,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만기액 계산기

 

만원

만원

 %  



5년 만기금액



 

반응형


 

정부 기여금

개인소득 (총급여기준) 기여금 지급한도(월)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월)
2,400 만원 이하 ~ 40 만원 6 % 2.4 만원
3,600 만원 이하 ~ 50 만원 4.6 % 2.3 만원
4,800 만원 이하 ~ 60 만원 3.7 % 2.2 만원
6,000 만원 이하 ~ 70 만원 3.0 % 2.1 만원
7,500 만원 이하 기여금 지급없음 / 비과세 이자소득만 적용

 
 

계산 예시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입력 후에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면

연소득 2,400 만원
월 납입금 40만원
은행 금리 6%

 
5년 만기금액은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온다.

원금 24,000,000 원
정부 기여금 1,440,000 원
은행 이자 (비과세) 3,660,000 원
총수령액 29,100,000 원

원금은 5년동안 내가 납입한 원금의 총액이며, 정부 기여금은 월 납입금 40만원에 대해 정부에서 지원된 총 금액이다.
연소득 2,400만원이니까 최고 40만원까지 6%의 비율로 기여금 지급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매월 24,000원의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다.
은행이자는 비과세로 5년 적금 이율로 계산하였다. 은행 금리가 아직 확정 전이라 금리를 선택해서 계산할 수 있도로 하였다.
일단은 6%로 계산하면 매월 40만원 적금으로 5년을 납입하면 3,660,000원의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다.
 
그결과 5년 만기후에 정부 기여금 + 은행 이자 = 5,100,000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게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