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가장 큰 공모주로 꼽히는 두산로보틱스의 공모 청약이 끝났다. 무려 33조원의 청약금이 모였으며, 올해 가장 큰 IPO가 되었다. 그렇다면 두산로보틱스는 어떤 회사이길래 이렇게 큰 자금이 모이는지를 알아보고, 두산로보틱스 사업분야를 자세히 알아보자.

두산로보틱스 상장
아래와 같은 공모주 청약 일정을 거쳐서 코스피 상장까지 이루어졌다.
| 날짜 | 일정 |
| 2023/9/11 ~ 9/15 | 수요예측일 |
| 2023/9/21 ~ 9/22 | 청약일 - 공모가액: 26,000원 / 1주 - 공무주: 16,200,000주 |
| 2023/9/26 | 배정공고일 납입일 환불일 |
| 2023/10/5 | 코스피 상장 |
두산로보틱스 회사 소개
두산로보틱스는 2015년에 설립된 두산 그룹의 자회사로, 다양한 산업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협동로봇 및 솔루션을 개발하고 제공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두산 그룹의 신성장 동력 및 핵심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하였으며, 3년여 간 연구개발을 통해 자체 기술로 협동로봇을 개발하여 2017년 경기도 수원에 생산시설을 준공하여 양산에 들어가기 시작하였다.
이후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시장을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여 좋은 평가를 받기 시작하였고 협동로봇의 서비스 영역을 넓혀가기 시작하였다.
회사 소개
| 항목 | 내용 |
| 설립연도 | 2015 |
| 본사 | 한국 |
| 대표이사 | 류정훈 대표 |
| 사업영역 | 협동로봇 |
| 타깃 고객사 | 중소기업부터 대기업까지 모든 규모의 기업 |
| 적용 산업 | 자동차, 전기/전자, 공작기계, 소비재, 가구, 화학, 플라스틱, 식품, 의료, 건설, 서비스 산업 등 |
| 대표 고객사 | 현대모터그룹, 소프코, LG전자, LG에저지솔루션, 삼성, 에머슨, 로레알, 지맨스, 밥캣, 훼스토 등 |
| 글로벌 진출 지역 | 유럽, 북미, 아시아, 중동, 오세아니아 |
| 연간 생산 능력 | 10,000대 |
연혁
| 연도 | 내용 |
| 2014-12 | 두산 그룹 현동로봇 시장 진출 |
| 2015-07 | 두산로보틱스 설립 |
| 2017-08 |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사용자 경험(UX) 부문 수상 |
| 2017-09 | '2017 로보월드'에서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 공개 |
| 2017-12 | 협동로봇 생산시설 준공 - 경기도 수원 |
| 2018-04 |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의 제품디자인 부문 수상 |
| 2018-09 | 독일 '오토매티카2018)' 참가 - 두산로보틱스 제품 최초 해외 공개 |
| 2019-04 | '오토메이트2019' 참가 - 북미 시장 첫 선 |
| 2019-06 | 2019 제5회 카렐 차페크상 시상식에서 '최고 투자가치상' 수상 |
| 2020-07 | 협동로봇 신제품 6종 출시 |
| 2021 | 해외 40국가 이상 진출 - 유럽, 북미, 아시아, 중동, 오세아니아 등 |
| 2021-12 | '2021 올해의 대한민국 로봇기업' 선정 |
| 2022-01 | 'CES 2022 Innovation Award' 혁신상 수상 |
두산로보틱스 사업분야
두산로보틱스의 사업분야는 바로 협동로봇(Cobot) 제조이다. 협동로봇이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공장에서 단순 기계를 조립하는 산업용 로봇과는 다른 개념으로 사람과 같은 공간에서 물리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일을 할 수 있는 로봇을 의미한다.
아래 사진과 같이 최근에 로봇이 커피를 만들어주는 카페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일들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협동로봇 분야이다.

그러면 두산로보틱스의 협동로봇에는 어떤 종류들이 있는지 협동로봇의 라인업과 적용 분야를 알아보도록 하자.
협동로봇 라인업
제품 라인업은 크게 기반하중과 작업반경에 따라서 시리즈가 나뉜다. 즉 협동로봇이 들 수 있는 무게와 작업반경에 따라 할 수 있는 일이 나뉘고 적용분야도 달라지는 것이다.
| 라인업 | 최대 기반하중 | 작업반경 | 설명 |
| H-SERIES | 25kg | 1500 ~ 1700 mm |
- 가장 우수한 힘을 가진 시리즈 - 넓은 범위의 작업 가능 |
| M-SERIES | 15kg | 900 ~ 1700 mm |
- 프리미엄 협동로봇 - 정밀한 민감도를 통한 빈틈없는 안정성 - 섬세하고 정교한 작업 가능 |
| A-SERIES | 9kg | 900 ~ 1200 mm |
- 경쟁 협동로봇 대비 우월한 속도와 경제성 - 경제적인 일반 모델 - 정밀한 힘제어가 가능 |
| E-SERIES | 5kg | 900 mm | - 식음료 산업에 최적화된 시리즈 - NSF 인증 및 IP66등급 - 손쉬운 위생관리 가능 - 쉬운 이동 및 설치 가능 |
협동로봇 적용 분야
협동로봇의 기반하중, 작업반경 및 특성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같은 분야라도 필요한 하중에 따라 사용하는 모델이 달라질 수 있다. 사람이 수작업으로 하던 일들을 협동로봇이 보조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
| 라인업 | 적용 분야 |
| H-SERIES | 팔레타이징 머신 텐딩 고중량물 핸들링 고중량 부품 조립 차체 조립 검사 용접 촬영 |
| M-SERIES | 전동공구 조립 머신 텐딩 용접 폴리싱 및 디버링 팔레타이징 글루잉 및 본딩 플라스틱 사출보조 프레스 포밍 |
| A-SERIES | 머신 텐딩 폴리싱 및 디버링 조립 에어블로잉 픽 앤 플레이스 검사 글루이 및 본딩 서비스 |
| E-SERIES | 커피 아이스크림 치킨 누들 |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 특징
두산로보틱스의 협동로봇은 Dart Platform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PC에서도 로봇 조작이 가능하며 프로그래밍까지 가능하도록 하였다. 단순하게 정해진 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컨트롤할 수 있고, 더 복잡한 일들을 프로그래밍하여 동작하게 만드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아래와 같이 프로그래밍 가능한 API를 제공하여 자신의 목적에 맞는 로봇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Dart Studio를 통해 시뮬레이션 및 프로그래밍 기능을 제공하며, ROS라는 다양한 라이브러리 및 디버깅 도구를 제공한다.


두산로보틱스의 협동로봇은 자동차 산업 공정에서의 적용을 시작으로 소비재, 산업용품 등 여러 산업으로 적용 분야를 확장해 나가고 있으며, 점차 사람이 수작업으로 하고 있는 다양한 서비스 분야로도 범위를 넓혀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이미 카페에서도 로봇이 커피를 타는 모습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차 다양한 식음료 산업에서 확장을 한다면 우리는 다양한 곳에서 협동로봇이 만들어 주는 음식을 먹게 되는 세상이 올 수 있는 것이다.
과학이 발전할 수록 점차 인간이 하는 일들을 기계가 대체해 나가는 세상이 되고 있다. 위험하고 힘든 일들을 기계가 대체하는 것은 필연적일 수 밖에 없는 흐름이고 이런 흐름속에서 협동로봇 산업은 필연적으로 발전해나갈 분야이다.
다음시간에는 두산로보틱스와 협동로봇 산업을 두고 경쟁하는 회사들이 어떤 곳들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정리하도록 하겠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워트 공모주 청약 정보 (0) | 2023.10.15 |
|---|---|
| 서울보증보험 공모주 청약 정보 및 일정 (0) | 2023.10.11 |
| 국내 연구진 개발 초전도체 LK-99 관련주 (0) | 2023.08.02 |
| 청년도약계좌 계산기 (0) | 2023.06.13 |
| 청년도약계좌 일정 - 신청기간 놓치지 마세요! (0) | 2023.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