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생활정보

엠폭스 증상 및 치료법

by 정보해커 2023. 4. 18.
반응형

최근 국내에서 엠폭스(MPOX) 확지자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엠폭스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라고도 하며 급성 발진성 감영병이다. 엠폭스는 1958년 실험실의 사육 원숭이한테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1970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인간에게 감염된 첫 사례가 보고되었다.

 

만일을 대비해서라도 엠폭스가 어떤 증상이 있는지를 알아두면 혹시나 자신이나 주위의 누군가가 걸리더라도 최대한 빨리 발견해서 병의 확산을 막는데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있으며 발진이 발생한다고 하니 이러한 증상이 있으면 한번쯤은 의심을 해보는 것이 좋겠다.

 

 

엠폭스 증상

 

● 초기 증상

  • 발열, 오한
  • 림프절 부종
  • 피고, 근육통
  • 두통
  • 호흡기 증상 (인후통, 코막힘, 기침 등)

 감기와 유사하다고도 한다.

 

● 1~4일 후

발진 발생

- 발진 부위: 얼굴, 입, 손, 발, 가슴, 항문생긱기 근처 등

- 발진 단계: 반점 구진(융기) → 수포(물집) → 농포(고름) → 가피 (딱지)

- 초기에는 뾰루지나 물집처럼 보일 수 있음

- 통증과 가려움 동반 가능

 

엠폭스 발진 사진

 


치료법

 

경미한 증상

 - 대부분 경미하게 증상이 나타나며, 2~4주 후 완치됨. 주로 대증적인 증상완화 치료 시행

 

고위험군

- 중증(출혈, 패혈증, 뇌염, 융합된 병변 등) 진행 가능

- 합병증 (이차세균감염, 심한 위염, 설사, 탈수, 기관지폐렴 등) 발생 가능

- 폐렴과 같은 합병증 치명적일 수 있음

- 뇌(뇌염) 또는 눈에 감염 치명적일 수 있음

 

양성자 치료

- 격리입원하여 증상에 따른 치료를 시행

 

 


감영경로

- 원숭이두창에 감연된 사람

- 원숭이두창에 감연된 동물 (쥐, 다람쥐, 프레리도그와 같은 설치류, 원숭이 등) 

- 오염된 물질

 

직접 접촉 감염된 사람이나 동물의 체액, 피부·점막 병변 (발진, 딱지 등)에 직접 접촉
매개물 접촉 감염된 사람 · 동물이 사용한 물건, 천(의류, 침구 또는 수건) 및 표면에 접촉
비말 접촉 호흡기 분비물 (코, 구강, 인두, 점막, 폐포에 있는 감염비말)에 접촉
기타 태반을 통해 감염된 모체에서 태아로 수직감염

 

 

 


검사방법

구인구도말, 피부병변액, 피부병변조직, 가피 및 혈액 등에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특이 유전자를 검출하는 유전자검출검사가 필요

반응형